스포츠 스폰서십에 대한 모든 것 소개, 손오공티비, 손오공TV, 스포츠중계, 무료스포츠중계, EPL중계

스포츠 스폰서십의 구조

Bikekim 아바타
스포츠 스포서십,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 모습

스포츠 스폰서십은  핵심주체인 스포츠 단체와 스폰서를 비롯해서 대중매체,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 그리고 스포츠팬으로 구성되어져 있다.

 

스포츠 단체

스포츠 단체는 스폰서가 활용할 만한 가치가 있는 스포츠 제품을 가지고 있는 주체이다. 가치 있는 스포츠 자산을 활용하여 스포츠 스폰서십을 통해 충분한 재정을 확보할 수 있다. 스포츠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스포츠 제품은 1차적으로 많은 스포츠팬을 확보할 수 있는 가치가 있어야 한다. 가치 있는 스포츠 제품을 통해서 많은 스포츠팬을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확인된 가치는 2차적으로 커뮤니케이션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기업과 관련을 맺을 수 있다.

 

스폰서 기업

기업들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새롭고 보다 효과적인 매체를 찾으려 한다. 그 가장 큰 이유는 기존의 대중매체를 이용한 촉진비용이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비용에 비해 효과는 상대적으로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포츠는 스폰서에게 새로운 형태의 기업 커뮤니케이션을 가능케 하는 매력적인 매체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많은 기업들이 스포츠 스폰서십 프로그램에 스폰서로 참여하고 있다.

 

대중매체

스포츠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스포츠 이벤트의 가치가 날로 상승하고 스폰서가 그 스포츠 이벤트를 활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얻으려고 하는 노력들은 모두 대중매체의 역할 때문이다. 대중매체의 영향력은 현대사회의 모든 영역에 걸쳐 더욱 확대되고 있는데, 스포츠 역시 예외는 아니다. 스포츠에서 대중매체의 역할은 수많은 대중에게 스포츠 경기력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로고나 짧은 메시지를 함께 전달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대중매체는 스포츠 단체와 스포츠팬들을 연결시키면서 자연스럽게 스포츠팬과 기업을 연결시켜 주는 매개 역할을 한다.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

스포츠 스폰서십에서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의 의미는 스포츠 단체나 스포츠 이벤트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평가할 수 있다. 즉, 스포츠 단체나 스포츠 이벤트의 규모가 작으면서 자체적으로 스폰서십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는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스포츠 단체나 스포츠 이벤트의 규모가 큰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스폰서십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이 어렵다.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는 국제 스포츠 단체의 마케팅 대행, 방송중계권의 자문 및 계약 대행 그리고 국제대회의 TV 이벤트 사업 등의 일들을 한다. 올림픽월드컵을 비롯한 각종 세계선수권대회 그리고 선수 개개인에게 이르기까지 스포츠 마케팅 대행사는 대회의 모든 마케팅을 담당한다.

 

스포츠팬

스포츠팬은 스포츠 스폰서십에서 기업이 스포츠 이벤트를 활용하게 하는 근본이다. 스포츠팬이 없으면 기업은 잠재적 소비자인 대중들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스포츠가 아닌 다른 매개체를 탐색할 것이다. 스포츠팬은 스포츠 단체에게는 경기장의 관중, 신문을 비롯한 인쇄매체의 스포츠 독자, TV를 비롯한 영상매체의 스포츠 시청자, 인터넷의 스포츠 네티즌으로 존재한다. 스폰서에게는 잠재적 소비자로 존재하며, 대중매체에는 매체수용자의 역할을 할 만큼 스포츠 스폰서십에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불가결의 존재이다.

 

참조: 스포츠 스폰서십의 유형

 

Bikekim 아바타

“스포츠 스폰서십의 구조”에 대한 2개의 응답

  1. […] 참조: 스포츠 스폰서십의 구조 […]

  2. […] 참조: 스포츠 스폰서십의 구조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